Copyright (c) 2015
All Rights Reserved by the Artist
siren eun young jung
에르메스재단 미술상 10주년 기념출판물 (2009) | ||
---|---|---|
송상희_비체들의 귀환 정은영 |
Return of Non-Substance siren eun young jung |
|
자신의 발언에 절대적인 권력을 부여하지 않으려는 끊임없는 자기 검열과 예민한 성찰, 타자들의 들리지 않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려는 부단한 노력과 윤리적 실천, 폭력적인 근대화의 망령에 사로잡힌 남근적 주체를 해체하는 비체들의 조롱, 그리고 그 사이에 작가 송상희가 있다. 송상희는 최근 몇 년간에 걸쳐, 앤더슨이 명명한 “상상적 공동체”로 범주화된 ‘국가’와 ‘민족’이라는 지나치게 혈기 넘치는 남근적 기획 저편으로 밀려난 여성들의 웅얼거림에 주목해 왔다. 마치 현실과 연옥의 경계에서 우글거리는 귀신과 유령처럼 불편하게만 존재하는 ‘비체적 존재’들을 불러들이는 일은 그녀의 가장 최근작에서도 역시 발견된다.
<달맞이 꽃>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는 이 작업의 텍스트는 현직 성 노동자로 일하고 있는 여성들에게 받은 자작시 들로 이루어져 있다. 작가는 현재 자신이 머물고 있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몇몇 성 노동자들을 만나 이 작업에 관한 이야기를 하며 기획을 개진해 나갔다. 현재 성매매가 합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암스테르담의 PIC(Prostitution Information Centre) 의 지지와 도움을 받아, 전 세계의 성 노동자 네트워킹(International Committee on the Rights of Sex Workers in Europe (ICRSW), International Union of Sex Workers (IUSW), The Network of Sex Worker Projects (NSWP))과 접촉 할 수 있었고, 이 기관들의 메일링 시스템을 통해 총 아홉 편의 시를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녀는 암스테르담의 집창촌인 Red Light District 한가운데에 자리한 교회 담장에 가로등을 설치하고 그 빛을 이용해 ‘빛 글자’로 만들어진 아홉 편의 시를 이 거리의 바닥에 투사했다. 이 작품이 보여지자 거리는 빛으로 인해 환히 밝혀졌고, 그것을 불편이 여긴 한 성 노동자 여성의 부탁으로 인해- 마치 해가 지기 시작하면 아름답게 피어나 새벽녘에 시들어 버리는 달맞이꽃처럼- 이 프로젝트는 새벽이 다가올 때쯤 끝을 내게 되었다. 이렇듯이 이 작업은 작가의 기획으로 시작되었지만 거의 모든 공간이 성 노동자 여성들의 목소리로 촘촘히 채워져 있다. 이것은 마치 스피박의 ‘하위주체는 말할 수 있는가?’라는 다소 회의 짙은 질문에 대한 긍정의 응답처럼 들린다. ‘재현(representation)’하되 ‘대표(representative)’하지 않는 태도, 즉, 재현과 대표의 공모관계에 저항하는 송상희의 재현의 윤리가 이 작업의 근간이 되어, ‘하위주체’스스로 자신들의 독자적인 언어를 만들어 ‘말하게’된 것이다. 그녀의 전작들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보다 직접적으로 작가의 수행적인 육체를 통해 드러난다. 작가 스스로 동두천 윤락가의 한복판에 서있는 눈과 입을 검은 테이프로 가린 한 여성으로 분하여 전복적인 시선과 언어를 만들어 내거나 (<동두천>, 2005), 전 대통령 영부인 육영수와 영원한 모성의 판타지 신사임당 등을 연기하며 역사적으로 구성되어 강요된 여성성의 난데없는 부활극을 펼쳐내어 우스꽝스럽게 비틀어내기도 한다(<국립극장>, 2004/<영부인A>, 2004/<신사임당>, 2004). 또는, 몸 보정기와 고문기계의 경계쯤에 위치할만한 고안된 장치들을 제작하여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안에서 고통스럽게 훈육 당하는 여성의 신체를 폭로하는가 하면 (<착한 딸이 되기 위한 몸짓>, 2001), 희망이라는 이름으로 치장된 근대적 허상 속에서 자신의 한 팔을 절단 당한 채 유원지의 난간에 기대어 환하게 웃고 있는 버스 안내원의 모습을 불러들이는 데 (<푸른 희망>, 2002)에 까지 이르면 우리는 작가 송상희가 자신을 예술가로 동일시하는 일이 이 무수한 비체적 존재들에 자신을 동일시하는 과정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눈치 채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송상희라는 작가의 정체성이, 그녀 스스로 쉬지 않고 그래왔던 것처럼, 그녀의 작업들과 마주한 우리에게 스스로를 부단히 성찰해 낼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바로 그 제안이, 견고한 역사로 재현되지 않았으므로 잊혀지거나 사라질뻔한, 무수한 비체적 존재들을 불러모은다. 모든 억압된 것들은 반드시 귀환한다던 프로이트의 예고가 실현되는 이 특별한 재현의 공간으로. |
Artist Sanghee Song stands tall upon the endearing self-verification and scrutinizing self- reflection to free her words of absolute authority, tireless effort and ethical practice to listen to the inaudible voice of ‘the other’, and dismantling and disparaging of phallic subjects trapped by the ghost of violent modernization by non-substance. Song has paid much attention to the mumbling of women who have been sidelined by the overly vigorous phallic plans of “state” and “nation” named as “imagined communities” by Anderson for the past few years. Her most recent works have, in fact, called upon the “non-substantive beings” of which existence is taken with much malaise as though they are ghosts and spirits roaming between the reality and purgatory. Texts included in Evening Primrose (2006) are poems written by active sex workers. Song met up with a few sex workers in Amsterdam, the Netherlands, where she is currently residing, in the course of planning this project. With support and assistance from the PIC (Prostitution Information Centre) of Amsterdam, where prostitution is practiced with a legal approval, song was able to come in contact with the network of sex workers (International Committee on the Rights of Sex Workers in Europe (ICRSW), International Union of Sex Workers (IUSW), The Network of Sex Worker Projects (NSWP)) from across the world. With a help from the PIC and other related unions, Song collected the total of nine poems through their official mailing system. She installed street lamps by the church- de oude kerk - wall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Red Light District, the heart of Amsterdam’s prostitution. Then she projected the nine poems using the light of the street lamp onto the pavement. When these lamps were installed, the street became bright with the lamp’s light, and at the demand of one sex worker who felt uneasy about the unusual brightness, the project came to an end at the crack of dawn – just like an evening primrose that blooms with a sunset and withers in dawn. This work begun with the planning efforts made by Song, but almost all of the space is filled with the voice of sex workers. It is as though Song is giving an affirmative answer to Spivak’s rather skeptical question “Can subalterns speak?” Song’s principal of making “non-representative representation” against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and what is representative has finally let the “subaltern” to “speak” their own language. Her previous works had created similar situations and/or circumstances through Song’s personal engagement. She covered her eyes and mouth with a black masking tape and stood in the middle of a street filled with brothels in Dongducheon to give birth to a subversive view and language. (Dongducheon, 2005) She also acted out the image of the former first lady Yeong-soo Yuk and the ultimate mother Shin Saimdang in a historical context to satirically criticize the sudden return of the outdated virtues of women. (National Theatre of Korea, 2004/ First Lady A, 2004/ A Mother A, 2004) Devices that stands midway between body braces and torture equipments were created to represent the women’s body painfully primed and trained by patriarchal ideologies, (Gesture to be a Good Daughter, 2001) and a bus attendant was shown to brightly smile against a railing in an amusement park with one of her arm amputated as though to pinpoint the modern illusion ornamented in the name of hope. (Blue Hope, 2004)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Song identifies herself as one with such countless non-substantive beings as well as an artist. Identity of Song, built with her works, urges us to engage in an endeavor to self-reflection. And this voice summons the countless non-substantive beings that might have disappeared or been forgotten as they never were recreated as a solid part of history – to the space of special representation as Freud’s prediction that all the repressed will retur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