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c) 2015
All Rights Reserved by the Artist
siren eun young jung

(Off)Stage/Master class Performance 01:25:00 (at festival Bo:M) 2013


출연
연주

연출
조연출
제작
스태프
자막번역



조영숙, 이등우, 이계순, 김용숙, 이혁상
박수빈, 조상민, 성한여름, 김영진

정은영
이희인
김현진
권기예, 김보경, 김지영, 김청진, 남선우
이지원
  Performer

Instrumental Performer


Director
Assistant Director
Producer
Staff

Subtitle Translator
Young-sook Cho, Deung-woo Lee, Gye-soon Lee,
Yong-sook Kim, Hyuk-sang Lee
Subin Park, Sangmin Cho, Hanyeolum Sung,
Young-jin Kim

siren eun young jung
Heein Lee
Hyunjin Kim
Kiye Kwon, Bokyung Kim, Ji-young Kim,
Choengjin Keem, Sun-woo Nam
Jiwon Lee
         
여성국극은 1940년대 말에 시작되어 1950-60년대에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다가 쇠퇴한 창무극의 한 종류로, 노래(唱)와 춤(舞)이 어우러진 일종의 오페라나 뮤지컬과 흡사한 형식에 주로 전통 판소리 사설이나 상고시대의 야화, 혹은 유명 대중 소설등의 스토리를 각색한 내용을 입혀 공연하는 무대예술이다. 여성국극은 전통적 성별 역할을 극대화해 수행하는 배역들과 그 배역들 간의 사랑과 갈등을 스토리로 적극 전유하지만, 모든 배역을 오로지 여성 배우가 연기하는 매우 독자적이고 전복적인 특징을 가진다. 지난 4년여간 비디오 작업을 통해 여성국극을 기록하고 탐구해 온 작가는 이번 여성국극에 관한 무대를 연출하면서 조영숙과 이등우를 배우로 초대한다.

조영숙은 ‘삼마이(주로 코믹한 연기로 남자주연을 보조하는 조연남역)' 연기를 도맡아 해온 생존하는 가장 유명한 1세대 여성국극 조연배우이며, 2세대 배우인 이등우는 현존하는 가장 역량 있는 여성국극 ‘니마이(남자주연으로 낭만적이고 용맹스러운 젊은 남성을 연기한다.)’역 배우 중 한 명이다. 이들은 각각 무대 위와 무대 밖의 삶을 교차시키거나, 단련된 남성연기를 전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경험된 삶'의 이면에 평행하던 역사적 기록들, 성별정치의 가능성들, 여성주의적 입장들, 본질주의의 허상들, 타자적 삶의 연민들을 불러내는 한편, ‘남성’되기의 정교화 과정을 반복해 재현한다. 이 재현은 결국 성별이라는 체계가 수행을 통해서 구성되는 것이며, 복제 가능한 것임은 물론, 그렇기 때문에 결코 본질적일 수 없음을 역설한다.

이 작품은 지난해 ‘문화역 서울 284’에서 있었던 퍼포먼스 전시 <플레이타임(예술감독/ 김성원)>의 한 꼭지인 <에피스테메의 대기실(기획/ 김현진)>에서 두 개의 개별적 작품으로 초연되었던 것을, 2013페스티벌 봄에서의 재연을 위해 하나의 무대로 다시 연출한 것이다.
  Yeosung Gukgeuk that started at the end of the 1940s is a similar type of the Korean traditional operas that declined after its popularity peaking during the 1950s through 1960s. It is a Genre where singing (唱) and dancing (舞) are combined and contains remaking stories of popular myths or novel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Pansori. Yeosung Gukgeuk obviously appropriates the characters who perform conventional gender role and their typical melodrama, however, It has a significantly, uniquely subversive style what only women player can perform all of characters. The artist, siren eun young jung, has been researching and documenting Yeosung gukgeuk mostly in her previous video pieces for about 4 years, and here she gives a new stage piece. For this, she invites two important Gukgeuk players, Young-sook Cho and Deung-woo Lee.

Cho is the most famous living ‘Sammai (a supporting male role who makes jokes and humorous remarks)’ from the first generation of the genre, and Lee is currently one of the most capable ‘Nimai(male protagonist acting romantic and brave man)’ performers. Each of them shows a crossing that the life offstage came into being onstage, and a masterclass teaching acting skills to the students how to play ‘being a man’. In the progress, they recall historical recordings, capabilities of gender politics, feminist positions, illusions of essentialisms, sympathies of the other’s life, and even repeatedly represent the refining process of becoming a man trough their lived experiences. What this emphasizes is that the system of gender is constructed by performativity and it can be duplicated, which leads to realization that it can never be essential.
As basically two separated pieces, these have had those premier in , a part of performance focused exhibition, titled last year at Culture Station Seoul 284. These are to be re-directed into a only work for Festival Bo:m 2013.